웹 접근성
일반적으로 웹 접근성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뜻
비장애인도 정보 접근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웹 접근성의 궁극적인 목적은 어떤 상황이든, 어떤 사람이든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하는 것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 수 있는 효과
사용자층 확대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 소외 계층도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그만큼 사이트의 이용자를 늘릴 수 있고,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
다양한 환경 지원
접근성을 향상시키면 다양한 환경, 다양한 기기에서의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서비스의 사용 범위가 확대
사회적 이미지 향상
회적 이미지가 향상되면 그만큼 이용자 수의 증가는 물론 충성 고객을 확보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1. 적절한 대체 텍스트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
2. 자막 제공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
3.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콘텐츠는 색에 관계 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4.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지시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
5. 텍스트 콘텐츠 명도 대비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 대 1 이상
6. 자동 재생 금지
자동으로 소리가 재생되지 않아야 한다
7. 콘텐츠 간 구분
이웃한 콘텐츠는 구별될 수 있어야한다.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8. 키보드 사용 보장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9. 초점 이동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10. 조작 가능
사용자 입력 및 컨트롤은 조작 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11. 응답 시간 조절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12.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13.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14. 반복 영역 건너뛰기
콘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뛸 수 있어야 한다.
15. 제목 제공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16. 적절한 링크 텍스트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17. 기본 언어 표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
18.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에 의한 맥락 변화 등)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19. 콘텐츠 선형 구조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
20. 표의 구성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
21. 레이블 제공
사용자 입력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
22. 오류 정정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견고성(Robust)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23.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24.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Learn > HTTP&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ing & Token (0) | 2023.03.08 |
---|---|
Cookie & Session (0) | 2023.03.07 |
웹 표준 (0) | 2023.03.02 |
express (0) | 2023.02.08 |
SOP,CORS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