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HTTP&네트워크

아마존 웹 서비스(AWS)

 

 

아마존 웹 서비스(AWS)

1. EC2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클라우드)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

-> 가상의 컴퓨터를 빌리는 것과 같다라고 생각

 

사용한 만큼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탄력적인'이라는 의미의 Elastic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AMI라는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구성

AMI는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템플릿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는 것은 AMI를 토대로 운영체제, CPU, RAM 혹은 런타임 등이 구성된 컴퓨터를 빌리는 것

 

 

2.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DS를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유지 보수와 관련된 일들을 RDS에서 전적으로 자동 관리

용자가 해야 할 일은 초기 설정을 제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 밖에 없기에 큰 편의성을 느낄 수 있다

3. S3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높은 확장성

->확장성이 높으면 많은 시간과 수고를 들이지 않고 스토리지 규모를 확장/축소할 수 있다

->스토리지의 용량을 무한히 확장,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강한 내구성

->S3는 99.999999999%의 내구성을 보장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

 

Standard 클래스

범용적인 목적으로 사용

 

장점

데이터에 빠른 속도로 접근

데이터 액세스 요청에 대한 처리 속도가 빠르다

 

단점

보관 비용이 높게 발생

 

Glacier 클래스

장기적인 보관 목적으로 사용

 

장점

보관 비용이 매우 저렴

 

단점

데이터 엑세스 속도 느림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이 가능

정적 파일 : 서버의 개입 없이 생성된 파일을 뜻

웹 호스팅(Web Hosting) : 웹 호스팅이란 서버의 한 공간을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뜻

 

S3에서는 버킷이 사용자들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버킷이라는 저장 공간에 정적 파일을 업로드하고 버킷을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용도로 구성하면 정적 웹 사이트를 배포

 

버킷이란 S3에 저장되는 파일들이 담기는 바구니

S3에서 버킷에 담기는 파일을 객체라고 부른다

-> S3에서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키-값 페어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

-> S3에 저장되는 객체는 파일과 메타데이터로 구성

 

배포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 S3라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Client를 제공

클라이언트 앱을 정적 파일로 빌드하여 제공

asset 자체가 정적인 경우, 있는 그대로 배포하면 됩니다. React의 경우 npm run build와 같은 명령을 사용해서, 정적 파일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 후 배포

'Learn > HTTP&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y  (0) 2023.04.04
CI/CD 와 github actions  (0) 2023.04.03
Lighthouse  (0) 2023.03.30
OAuth  (0) 2023.03.09
Hashing & Token  (0) 2023.03.08